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주교 성지화와 종교적 공존

천진암 성지에 세워진 거대한 ‘세계 평화의 성모상’. 천진암 누리집 갈무리(한겨레신문)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불러온 갈등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천진암과 주어사 등의 불교 사찰이 천주교의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계와 가톨릭 간의 갈등이 촉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불교의 역사와 정체성이 소외되고 있다는 불만에서 비롯됩니다. 한국 역사에서 불교와 가톨릭은 오랫동안 공존해 왔지만, 이번 성지화 논란은 그간의 우호적 관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천진암은 본래 불교 사찰로, 조선 후기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을 숨겨주던 곳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변모하면서 불교적 정체성을 잃어버렸습니다. 주어사도 비슷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제는 천주교 순례자들이 찾는 성지가 되었습니다. 불교계는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지우는 행위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을 조성하겠다는 협약은 불교계의 큰 반발을 일으켰습니다. 남한산성은 불교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축조한 역사적 장소로, 그 불교적 의미가 강합니다. 그러나 천주교가 이곳을 순례길로 개발하려는 것은 불교의 역사적 공헌을 무시하는 것으로 비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 성지화 사업이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아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다는 점입니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만들기 위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는 특정 종교의 이익에 치우친 사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모든 국민의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사용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신중하고 공정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다른 종교의 유산을 침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됩니다.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함께 기억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